전체 글58 [CentOS] 더미 파일(dummy file) 생성 #dd 명령어를 통해 10MB 크기의 dummy file을 생성한다. #dd if=/dev/zero of=dummyfile bs=1M count=10현재 경로에 dummyfile이라는 이름의 파일을 생성한다.--help를 참고하여 block 크기 1M로 10MB 파일을 생성한다. 10MB 크기의 파일이 생성되었다. dummyfile / 더미 파일 / dd / /dev/zero / blocks 2016. 12. 17. [CentOS] yum local repository(로컬 저장소) 만들기 #mkdir /mnt/cdromCentOS 이미지 파일을 마운트 할 폴더를 생성한다. #mount /dev/sr0 /mnt/cdrom이미지를 생성한 폴더에 마운트 한다. 아래와 같이 /etc/yum.repos.d 폴더 아래 새파일을 생성한다. (local.repo)해당 폴더에 있던 다른 파일들은 압축하거나 삭제한다. #yum clean all 캐시파일들을 정리한다. #yum repolistlocal이라는 이름의 저장소가 생성 된 것을 확인한다. 마운트를 해제하고 repository를 사용하려면 원하는 폴더에 복사하여 사용한다. repository / repolist / mount / centos / yum 2016. 12. 17. [CentOS] 실시간 로그 확인 #tail -f /var/log/messages tail -f 옵션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파일에 추가되는 내용을 확인한다. usb와 같은 장치들을 연결했을 때 실시간으로 장치가 올바르게 연결되는지 확인 가능하다. / log / tail / tail -f / 실시간 로그 2016. 12. 17. [VMware] iSCSI Storage 연결 (Windows 2012 storage로 사용하기) vSphere Client OR vCenter에서 해당 host 선택 후 구성 Tab왼쪽 메뉴 스토리지 어댑터에서 iSCSI 어댑터를 추가한다. 추가된 어댑터의 속성에서 사용할 네트워크 어댑터를 추가한다. iSCSI 서버의 IP를 추가한다. (Windows 2012 서버의 IP) Windows 2012 서버의 역할에서 iSCSI 서비스를 설치한 후아래와 같이 새 가상 디스크를 생성한다. VMware에서 추가한 iSCSI 어댑터의 iqn을 입력한다. vSphere Client(첫번째 화면)로 돌아가 모두 다시 검색 버튼을 누르면 해당 스토리지가 보인다.왼쪽 스토리지 탭에서 스토리지 추가해주면 완료. vmware / esxi / vsphere client / vcenter / iqn / iscsi / win.. 2016. 12. 17.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